생산자물가지수란
(Produces Price Index)
국내 생산자가 국내(내수)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
서비스의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 생산자물가지수를 구하는 기본 목적은
소비자물가지수(통계청 작성) 및
수출입물가지수(한국은행 작성)와 함께
구매력 변화 측정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
명목금액으로부터 물가요인을 제거하여
실질금액으로 환산해 주는 디플레이터의
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.
2022년의 자료를 차트화 해보았습니다. (기준연도 2015년 = 100)
국내출하액이 모집단금액의 1/10,000 이상인 781개 상품,
서비스의 경우 1/2,000 이상인 거래비중을 갖는 103개 품목으로
총 884개 품목을 선정하여 조사하여 산출된 데이터예요.
차트를 보면 총 지수는 4월, 5월 모두 9.7 인데,
해석을 하자면 전월대비 모두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네요.
3월 이후부터는 전기, 가스, 수도 부문이 더 많이 상승을 하였고,
국제유가가 하락해준 이유에선지 공산품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은 많이 둔화되고 있습니다.
생산자물가지수가 오르면 소비자물가지수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.
왜냐하면 생산 및 공급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면,
완전 똑같이 반영하진 못해도 소비자물가에도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
앞으로 한동안 물가 상승을 이어갈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이네요.
https://taegyeom.tistory.com/33
CPI(소비자 물가지수)에 대하여 알아보자 !
최근 뉴스에서 떠들썩한 단어 인플레이션. 그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고 있습니다. 기준금리 연속 3회 상승이 사상 최초라고 알려지고 있는데요. 최근 한국 금통위에서 사상
taegyeom.tistory.com
자료 출처 : e-나라지표, 한국은행 통계자료
관련 사이트 주소 : https://www.index.go.kr/potal/main/EachDtlPageDetail.do?idx_cd=1061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CPI(소비자물가지수)의 공식은 무엇인가? (0) | 2022.10.22 |
---|---|
2022년 세제 개편안 : 국내상장 주식 양도소득세 폐지 및 증권거래세 인하 (0) | 2022.08.06 |
기업분할 스핀오프(Spin-Off) 란? (0) | 2022.07.11 |
유동성 커버리지 비율(LCR) 은 무엇인가 (0) | 2022.07.07 |
2023년 최저임금 결정(2023년 1월 1일 부터 9,620원/시간) (0) | 2022.07.03 |